대한민국에서 파킨슨병 치료 가장 잘하는 병원 TOP10, 질병코드
가만히 있는데 손이 떨리고, 걸음이 종종걸음이 되며, 몸이 뻣뻣하게 굳고 행동이 느려지는 증상. 혹시 주변의 어르신이나 나 자신에게서 이런 변화를 느끼고 계신가요?
이는 단순히 나이가 들어 생기는 자연스러운 노화 현상이 아닌, 뇌 신경계의 퇴행성 질환인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치매 다음으로 흔한 퇴행성 뇌 질환이지만, 여전히 많은 분들이 병에 대해 잘 알지 못해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 이 글에서는 파킨슨병의 모든 것과, 최고의 의료진과 함께 병의 진행을 늦추고 삶의 질을 지킬 수 있는 길을 상세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 파킨슨병, 정확히 어떤 병인가요?
파킨슨병은 우리 뇌의 깊은 곳에 위치한 **'흑질(Substantia nigra)'**이라는 부위에서, 우리 몸의 움직임을 부드럽고 정교하게 조절하는 **'도파민(Dopamine)'**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을 만드는 세포가 서서히 죽어가는 병입니다. 도파민이 부족해지면서 우리 몸은 마치 윤활유가 부족한 기계처럼 삐걱거리기 시작하고, 다양한 운동 장애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파킨슨병은 주로 60세 이상에서 발병하지만, 최근에는 40~50대의 비교적 젊은 나이에 발병하는 '젊은 파킨슨병' 환자도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안타깝게도 파킨슨병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노화,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파킨슨병과 증상이 비슷하지만 원인이 다른 **'파킨슨 증후군(비정형 파킨슨증)'**과 감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파킨슨 증후군은 약물 부작용, 뇌졸중, 다른 퇴행성 질환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파킨슨병 치료제에 잘 반응하지 않고 예후가 더 좋지 않은 경우가 많아 정확한 진단이 치료의 첫걸음입니다.
⚠️ ‘나이 탓이겠지’… 절대 놓치면 안 될 파킨슨병의 4대 핵심 증상!
파킨슨병은 다음과 같은 4가지 주된 운동 증상을 특징으로 합니다.
- 안정 시 떨림 (Tremor at Rest):
- 가장 잘 알려진 특징적인 증상입니다. 힘을 빼고 가만히 있을 때(예: 무릎 위에 손을 올려두었을 때), 손이나 다리가 규칙적으로 떨리는 증상입니다.
- 마치 '알약을 빚는 듯한' 모양으로 손가락을 떠는 모습이 특징적입니다.
- 신기하게도, 막상 어떤 행동을 하려고 하면 떨림이 줄어들거나 사라집니다.
- 서동증 (느린 움직임, Bradykinesia):
- 파킨슨병 진단에 필수적인 증상입니다. 모든 행동이 매우 느려지고 굼떠집니다.
- 걷기 시작할 때 첫 발을 떼기 어렵고, 걸음의 보폭이 짧아져 종종걸음을 칩니다.
- 얼굴 표정이 무표정하게 변하고(가면 얼굴), 글씨를 쓸 때 글자가 점차 작아집니다(소자증).
- 옷을 입거나, 음식을 먹거나, 돌아눕는 등 일상적인 동작 하나하나에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립니다.
- 근육 강직 (Rigidity):
- 다른 사람이 팔이나 다리를 움직여보면, 마치 뻣뻣한 톱니바퀴를 돌리는 것처럼 뚝뚝 걸리는 저항이 느껴집니다.
- 환자 본인은 관절이 뻣뻣하고, 근육통이나 뻐근함을 호소합니다.
- 자세 불안정 (Postural Instability):
- 병이 상당히 진행된 후에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 몸의 균형을 잡는 능력이 떨어져 자주 넘어지게 됩니다.
- 걸을 때 상체가 앞으로 구부정해지고, 한 번 걷기 시작하면 자신도 모르게 걸음이 빨라져 멈추기 어려워 앞으로 넘어질 것 같은 모습을 보입니다.
이 외에도 우울증, 수면장애(특히 렘수면 행동장애), 변비, 후각 소실, 인지기능 저하 등 다양한 비운동성 증상이 운동 증상보다 수년 먼저 나타날 수 있어, 이러한 변화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파킨슨병의 진단과 삶의 질을 높이는 치료 전략
파킨슨병은 혈액 검사나 뇌 MRI만으로는 진단할 수 없습니다. 진단은 오직 숙련된 신경과 전문의의 병력 청취와 신경학적 진찰을 통해 내려집니다. 의사는 환자의 특징적인 운동 증상을 확인하고, 파킨슨 증후군과의 감별을 위해 노력합니다.
- 임상적 진단: 의사의 진찰이 가장 중요합니다.
- DAT Scan (도파민운반체 영상): 뇌의 도파민 세포 손상 정도를 눈으로 확인하는 영상 검사입니다. 진단이 모호하거나, 다른 질환과의 감별이 필요할 때 보조적으로 사용됩니다.
파킨슨병은 완치가 어려운 만성 진행성 질환이지만, 적절한 치료를 통해 증상을 조절하고 오랜 기간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병입니다. 치료의 목표는 완치가 아닌, '삶의 질'을 최대한 높게 유지하는 것입니다.
- 약물 치료: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치료법입니다. 부족해진 도파민을 보충하거나, 도파민의 작용을 돕는 다양한 약물을 사용합니다.
- 레보도파 (Levodopa): 가장 효과적인 표준 치료제입니다. 뇌로 들어가 직접 도파민으로 변환되어 작용합니다.
- 도파민 작용제 (Dopamine Agonists): 도파민과 유사한 작용을 하여 뇌를 자극합니다.
- 기타: MAO-B 억제제, COMT 억제제 등 다양한 약물들이 환자의 상태에 맞춰 처방됩니다.
- 뇌심부자극술 (DBS, Deep Brain Stimulation): 약물 치료를 오래 하여 약효 소진 현상이나 이상운동증 같은 부작용이 심해진 환자에게 매우 효과적인 수술적 치료법입니다. 뇌의 특정 부위에 미세한 전극을 삽입하고 가슴에 이식한 자극 발생기를 통해 전기 신호를 보내 뇌의 이상 회로를 조절하는 '뇌의 페이스메이커'입니다. 이를 통해 약물 복용량을 줄이고 운동 증상을 극적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 재활 치료: 약물/수술 치료만큼이나 중요합니다.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등을 통해 근력과 균형감각을 유지하고, 일상생활 동작을 훈련하며, 정확한 발음을 유지하도록 돕습니다.
🏥 대한민국 파킨슨병 치료 대표 병원 TOP 10
파킨슨병은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특히 약물 조절과 뇌심부자극술(DBS) 등은 신경과와 신경외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국내 파킨슨병 및 이상운동질환 분야를 선도하는 대표 병원 10곳을 소개합니다. (순서는 무작위입니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대표 의료진: 주현 (신경과), 손병철 (신경외과)
-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22
- 진료 가능 시간: 평일 08:30 ~ 17:30
- 대표 연락처: 1588-1511
- 홈페이지: https://www.cmcseoul.or.kr/
https://www.cmcseoul.or.kr/
www.cmcseoul.or.kr
[삼성서울병원]
- 대표 의료진: 조진환 (신경과), 이정일 (신경외과)
-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로 81
- 진료 가능 시간: 평일 08:00 ~ 17:00
- 대표 연락처: 1599-3114
- 홈페이지: https://www.samsunghospital.com/
삼성서울병원
www.samsunghospital.com
[서울대학교병원]
- 대표 의료진: 전범석 (신경과), 백선하 (신경외과)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 진료 가능 시간: 평일 09:00 ~ 18:00
- 대표 연락처: 1588-5700
- 홈페이지: https://www.snuh.org/
서울대학교병원 메인 홈페이지
www.snuh.org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 대표 의료진: 고성범 (신경과), 정규하 (신경외과)
- 주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로 148
- 진료 가능 시간: 평일 08:30 ~ 17:30
- 대표 연락처: 1577-9966
- 홈페이지: https://guro.kumc.or.kr/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guro.kumc.or.kr
[아주대학교병원]
- 대표 의료진: 안영환 (신경과), 김세혁 (신경외과)
- 주소: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164
- 진료 가능 시간: 평일 08:30 ~ 17:30
- 대표 연락처: 1688-6114
- 홈페이지: https://h.ajoumc.or.kr/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대표 의료진: 김종민 (신경과), 김재용 (신경외과)
- 주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173번길 82
- 진료 가능 시간: 평일 08:30 ~ 17:30
- 대표 연락처: 1588-3369
- 홈페이지: https://www.snubh.org/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건강한 미래의 지평을 여는 국민의 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www.snubh.org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 대표 의료진: 이필휴 (신경과), 장진우 (신경외과)
-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1
- 진료 가능 시간: 평일 08:30 ~ 17:30
- 대표 연락처: 1599-1004
- 홈페이지: https://sev.severance.healthcare/
세브란스병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는 환자들이 진료과, 클리닉, 전문센터의 의료진 정보를 통해 진료 예약을 할 수 있으며, 예약현황, 검사결과, 약처방정보 등의 내역을 볼 수 있는 MY세브
sev.severance.healthcare
[해운대백병원]
- 대표 의료진: 박진세 (신경과), 문성배 (신경외과)
- 주소: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875
- 진료 가능 시간: 평일 08:30 ~ 17:00
- 대표 연락처: 051-797-0100
- 홈페이지: https://www.paik.ac.kr/haeundae/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www.paik.ac.kr
[서울아산병원]
- 대표 의료진: 정선주 (신경과), 이정교 (신경외과)
- 주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43길 88
- 진료 가능 시간: 평일 08:30 ~ 17:30
- 대표 연락처: 1688-7575
- 홈페이지: https://www.amc.seoul.kr/
서울아산병원
앞선 의술 더 큰 사랑을 실천하는 서울아산병원 입니다
www.amc.seoul.kr
[경희대학교병원]
- 대표 의료진: 안태범 (신경과), 박봉진 (신경외과)
-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3
- 진료 가능 시간: 평일 09:00 ~ 17:30
- 대표 연락처: 1577-5800
- 홈페이지: https://www.khuh.or.kr/
khuh.or.kr
www.khuh.or.kr
📋 파킨슨병 관련 질병분류코드
병원 진료 및 보험 서류 발급 시 참고하실 수 있는 파킨슨병 관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 코드입니다. 파킨슨병은 희귀난치성질환으로 산정특례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질병분류코드 | 내용 |
G20 |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
G21 | 이차성 파킨슨증 |
G22*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파킨슨증 |
❤️ 병의 진행을 늦추고, 당신의 소중한 일상을 지킬 수 있습니다
몸이 내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는 것, 어제의 내가 오늘의 나보다 더 건강했다는 사실을 마주하는 것은 참으로 고통스럽고 슬픈 일입니다. '파킨슨병'이라는 진단은 당신과 당신 가족의 삶에 큰 변화를 가져왔을 것입니다. 하지만 기억해주십시오. 파킨슨병은 결코 삶의 끝이 아닙니다.
비록 완치할 수는 없지만, 현대 의학의 발전은 파킨슨병을 '함께 살아가는 만성 질환'으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꾸준한 약물 치료와 재활, 그리고 필요할 때 시행하는 수술적 치료를 통해 증상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오랜 시간 동안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웃고, 걷고, 여행하며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병을 두려워하며 숨기보다는, 정확히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치료에 동참하는 용기입니다. 당신은 결코 혼자가 아닙니다. 당신의 곁에는 최고의 의료진과, 당신을 사랑하는 가족들이 함께하고 있습니다. 그들의 손을 잡고, 희망을 품고, 오늘 하루를 충실히 살아가시길 진심으로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