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구획증후군의 모든 것(문근영, 원인, 치료방법, 추천병원, 질병코드까지)

급성구획증후군의 모든 것(문근영, 원인, 치료방법, 추천병원, 질병코드까지)

급성구획증후군의 모든 것(문근영, 원인, 치료방법, 추천병원, 질병코드까지)

골절이나 심한 타박상을 입은 후, "뼈가 부러졌으니 아픈 게 당연하지"라고 생각하고 계신가요? 하지만 만약 그 통증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극심하고, 진통제도 듣지 않으며, 팔다리가 퉁퉁 붓고 감각이 이상해진다면? 이는 단순 골절통이 아닌, 6시간의 골든타임을 놓치면 팔다리를 잃을 수도 있는 응급 질환, **'급성 구획 증후군(Acute Compartment Syndrome)'**의 경고 신호일 수 있습니다.

 

오늘 이 글을 통해 '괜찮아지겠지'라는 안일함이 불러올 수 있는 끔찍한 결과를 막고, 소중한 내 몸을 지키는 방법을 정확히 알려드리겠습니다.


🤔 문근영님이 겪은 급성 구획 증후군, 정확히 어떤 병인가요?

우리 팔과 다리의 근육은 '근막(Fascia)'이라는 질기고 탄력 없는 막에 의해 여러 개의 구획으로 나뉘어 싸여 있습니다. 급성 구획 증후군은 골절이나 심한 손상으로 인해 특정 구획 안에서 출혈이나 부종이 발생하여, 한정된 공간의 압력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풍선 안에 계속해서 물을 집어넣는다고 상상해 보세요. 풍선은 결국 터지겠지만, 우리 몸의 근막은 터지지 않고 내부 압력만 계속해서 높입니다. 이 높은 압력은 구획 내의 혈관과 신경을 심하게 압박하여 혈액 공급을 차단하고, 산소와 영양분을 받지 못한 근육과 신경 조직이 **괴사(썩기 시작)**하게 만드는 무서운 응급 질환입니다.

 

주로 정강이(하퇴)와 팔(전완)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골절: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부러진 뼈가 혈관을 손상시켜 출혈을 일으킵니다.
  • 심한 근육 타박상: 외부의 강한 충격으로 근육이 붓고 출혈이 생깁니다.
  • 압궤 손상: 무거운 물체에 팔다리가 깔리는 등의 사고
  • 깁스 또는 붕대 압박: 너무 꽉 조이는 깁스나 붕대
  • 수술 후 부종
  • 심한 운동으로 인한 근육 파열

⚠️ '이건 그냥 통증이 아니다!' 절대 놓치면 안 될 5가지 핵심 증상 (5P's)

급성 구획 증후군은 시간이 생명입니다. 아래 5가지 증상, 특히 첫 번째 통증이 나타난다면 즉시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1. 통증 (Pain): 가장 중요하고 가장 먼저 나타나는 증상.
    • 손상 정도에 비해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극심한 통증이 특징입니다.
    • 진통제를 맞아도 전혀 호전되지 않습니다.
    • 팔다리를 수동적으로 움직이거나 스트레칭할 때 통증이 터질 듯이 심해집니다.
    • "팔/다리가 끊어질 것 같다", "칼로 찢는 것 같다"고 표현합니다.
  2. 감각 이상 (Paresthesia):
    • 해당 부위의 감각이 둔해지고, 저리거나, 벌레가 기어가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 신경이 압박받고 있다는 명백한 신호입니다.
  3. 창백 (Pallor):
    • 팔다리가 창백해지거나, 푸르스름하게 변합니다.
    • 혈액 공급이 차단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4. 마비 (Paralysis):
    • 손가락이나 발가락을 움직이기 힘들어지고, 점차 마비가 진행됩니다.
    • 신경과 근육의 손상이 상당히 진행되었음을 의미합니다.
  5. 무맥박 (Pulselessness):
    • 손목이나 발목에서 맥박이 만져지지 않습니다.
    • 이는 가장 늦게 나타나는 최악의 신호로, 이미 조직의 괴사가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억하십시오. 진통제가 듣지 않는 극심한 통증과 감각 이상이 나타난다면, 맥박이 만져지더라도 즉시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무맥박 단계까지 기다리면 너무 늦습니다.

급성구획증후군의 모든 것(문근영, 원인, 치료방법, 추천병원, 질병코드까지)


🩺 급성 구획 증후군의 진단과 유일한 치료법 '근막 절개술'

급성 구획 증후군은 주로 환자가 호소하는 특징적인 증상과 의사의 신체 검진을 통해 임상적으로 진단하는 응급 질환입니다. 진단을 위해 시간을 지체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 임상적 진단: 위에서 언급한 5P 증상, 특히 극심한 통증과 수동적 운동 시 통증 악화 여부가 가장 중요합니다.
  • 구획압 측정: 진단이 모호한 경우, 특수 압력계 바늘을 해당 구획에 직접 찔러 넣어 압력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정상 구획압은 0~10mmHg이며, 30mmHg 이상이면 응급 수술이 필요합니다.

급성 구획 증후군의 유일하고 시급한 치료법은 **응급 근막 절개술(Emergency Fasciotomy)**입니다.

이는 압력이 높아진 구획의 피부와 근막을 길게 절개하여, 닫힌 공간을 강제로 열어주는 수술입니다. 부어오른 근육이 밖으로 터져 나올 공간을 만들어 주어 내부 압력을 즉시 떨어뜨리고, 혈액 공급을 재개하여 신경과 근육의 괴사를 막는 것입니다.

 

이 수술의 성공은 **'시간'**에 달려있습니다. 증상 발생 후 6~8시간 이내에 수술을 받아야 신경 및 근육 기능의 완전한 회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 '골든타임'을 놓치면 근육 괴사로 인한 영구적인 장애(마비, 구축 변형), 심하면 다리나 팔을 절단해야 할 수도 있으며, 괴사된 조직에서 나온 독성 물질이 전신으로 퍼져 신부전 등으로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 대한민국 급성 구획 증후군 치료 대표 병원 TOP 10 (권역외상센터 중심)

급성 구획 증후군은 24시간 응급 수술이 가능한 정형외과 팀과 시스템을 갖춘 병원, 특히 중증 외상 환자를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권역외상센터를 보유한 병원에서 치료받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국내 권역외상센터 및 정형외과 외상 분야를 선도하는 병원 10곳을 소개합니다. (순서는 무작위입니다.)

 

[아주대학교병원 (경기남부 권역외상센터)]

  1. 대표 의료진: 이국종 (외상외과), 한기봉 (정형외과)
  2. 주소: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164
  3. 진료 가능 시간: 24시간 응급진료
  4. 대표 연락처: 1688-6114
  5. 홈페이지: https://h.ajoumc.or.kr/

 

[국립중앙의료원 (중앙 권역외상센터)]

  1. 대표 의료진: 조영순 (외상외과), 김성환 (정형외과)
  2.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45
  3. 진료 가능 시간: 24시간 응급진료
  4. 대표 연락처: 02-2260-7114
  5. 홈페이지: https://www.nmc.or.kr/
 

국립중앙의료원

 

www.nmc.or.kr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서울 권역외상센터)]

  1. 대표 의료진: 이재길 (외상외과), 한일규 (정형외과)
  2.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1
  3. 진료 가능 시간: 24시간 응급진료
  4. 대표 연락처: 1599-1004
  5. 홈페이지: https://sev.severance.healthcare/
 

세브란스병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는 환자들이 진료과, 클리닉, 전문센터의 의료진 정보를 통해 진료 예약을 할 수 있으며, 예약현황, 검사결과, 약처방정보 등의 내역을 볼 수 있는 MY세브

sev.severance.healthcare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1. 대표 의료진: 오종건 (정형외과), 이정일 (정형외과)
  2. 주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로 148
  3. 진료 가능 시간: 24시간 응급진료
  4. 대표 연락처: 1577-9966
  5. 홈페이지: https://guro.kumc.or.kr/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guro.kumc.or.kr

 

[가천대 길병원 (인천 권역외상센터)]

  1. 대표 의료진: 이정남 (외상외과), 최은석 (정형외과)
  2. 주소: 인천광역시 남동구 남동대로774번길 21
  3. 진료 가능 시간: 24시간 응급진료
  4. 대표 연락처: 1577-2299
  5. 홈페이지: https://www.gilhospital.com/
 

가천대 길병원

 

www.gilhospital.com

 

[단국대학교병원 (충남 권역외상센터)]

  1. 대표 의료진: 장성욱 (외상외과), 김종필 (정형외과)
  2. 주소: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망향로 201
  3. 진료 가능 시간: 24시간 응급진료
  4. 대표 연락처: 1588-0063
  5. 홈페이지: https://www.dkuh.co.kr/
 

사랑이 숨쉬는 인술의 요람 - 단국대학교병원 홈페이지입니다.

 

www.dkuh.co.kr

 

[부산대학교병원 (부산 권역외상센터)]

  1. 대표 의료진: 김재훈 (외상외과), 이정훈 (정형외과)
  2. 주소: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179
  3. 진료 가능 시간: 24시간 응급진료
  4. 대표 연락처: 051-240-7000
  5. 홈페이지: https://www.pnuh.or.kr/
 

인트로 | 부산대학교병원-메인

 

www.pnuh.or.kr

 

[경북대학교병원 (대구 권역외상센터)]

  1. 대표 의료진: 정창수 (외상외과), 오창욱 (정형외과)
  2. 주소: 대구광역시 중구 동덕로 130
  3. 진료 가능 시간: 24시간 응급진료
  4. 대표 연락처: 053-200-5114
  5. 홈페이지: https://knumc.knu.ac.kr/

 

[전남대학교병원 (광주 권역외상센터)]

  1. 대표 의료진: 강도현 (외상외과), 범희용 (정형외과)
  2. 주소: 광주광역시 동구 제봉로 42
  3. 진료 가능 시간: 24시간 응급진료
  4. 대표 연락처: 062-220-5114
  5. 홈페이지: https://www.cnuh.com/
 

전남대학교병원

 

www.cnuh.com

 

[의정부성모병원 (경기북부 권역외상센터)]

  1. 대표 의료진: 조항주 (외상외과), 김기용 (정형외과)
  2. 주소: 경기도 의정부시 천보로 271
  3. 진료 가능 시간: 24시간 응급진료
  4. 대표 연락처: 1661-7500
  5. 홈페이지: https://www.cmcujb.or.kr/
 

https://www.cmcujb.or.kr/

 

www.cmcujb.or.kr

급성구획증후군의 모든 것(문근영, 원인, 치료방법, 추천병원, 질병코드까지)


📋 급성 구획 증후군 관련 질병분류코드

병원 진료 및 보험 서류 발급 시 참고하실 수 있는 급성 구획 증후군 관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 코드입니다.

질병분류코드 내용
T79.6 외상성 허혈성 근구축
M62.2 근육의 기타 허혈성 경색 (비외상성 구획증후군)
S55.91 아래팔 부분의 상세불명 혈관의 손상, 구획증후군 동반
S85.91 아랫다리 부분의 상세불명 혈관의 손상, 구획증후군 동반

❤️ 골든타임을 지키는 당신의 빠른 판단이 최고의 치료입니다

'급성 구획 증후군'이라는 낯선 이름의 병은 우리에게 '시간'의 중요성을 그 무엇보다 절실하게 알려줍니다. 다친 후 나타나는 극심한 통증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는 순간, 우리는 평생 후회할 결과를 맞이할 수 있습니다. 이 병의 치료는 최고의 명의나 최첨단 장비가 아니라, 바로 당신의 빠른 판단과 행동에서 시작됩니다.

 

혹시라도 당신이나 당신의 가족이 심한 부상 후 설명할 수 없는 통증과 감각 이상을 호소한다면, 절대 망설이지 마십시오. 119에 연락하거나 가장 가까운 권역외상센터, 혹은 24시간 응급수술이 가능한 병원으로 즉시 달려가는 그 용기가 한 사람의 인생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읽는 모든 분들이 불의의 사고를 당하지 않기를, 그리고 만약 힘든 시간을 겪고 계신 환우분이 있다면, 골든타임 안에 좋은 치료를 받아 후유증 없이 건강하게 회복하시기를 진심으로 기도하겠습니다.

반응형